한육우 |
---|
[발표일정]
관측월보 : 매월 25일(2~12월) 분기보 : 매월 25일(2, 5, 8, 11월)
[발표품목]
관측월보 : 육계 분기보 : 한육우, 젖소, 돼지,산란계, 오리 |

한육우 |
---|
[발표일정]
관측월보 : 매월 25일(2~12월) 분기보 : 매월 25일(2, 5, 8, 11월)
[발표품목]
관측월보 : 육계 분기보 : 한육우, 젖소, 돼지,산란계, 오리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담당자 : 김형진 061)820-2286No. | 제목 | 다운로드 |
---|---|---|
116 | 축산 (한육우) -2020년 12월호 |
![]() |
115 | 축산 (한육우) -2020년 09월호 |
![]() |
114 | 축산 (한육우) -2020년 06월호 |
![]() |
113 | 축산 (한육우) -2020년 03월호 |
![]() |
112 | 축산 (한육우) -2020년 01월호 |
![]() |
● 한우 사육 마릿수 지속 증가할 전망
- 가임암소 증가로 송아지 생산이 늘어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세 지속 전망
- 2020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가임암소 마릿수와 1세 미만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4.9% 증가한 320만 6천 마리
- 1세 미만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3.9% 증가한 94만 1천 마리, 가임암소는 4.4% 증가한 155만 마리
- 2021년 328만 1천 마리(전년 대비 2.3% 증가), 2022년 332만 3천 마리(1.3% 증가)
● 2021년 1분기 이후 도축 마릿수 증가폭 확대
- 2020년 도축 마릿수는 사육 증가로 전년(76만 5천)과 평년(74만 8천)대비 증가한 77만 7천 마리
- 4분기(10∼12월) 도축 마릿수는 19만 1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 예상
● 2021년 도축 마릿수 84만 2천 마리로 2020년 대비 증가
- 1분기(1∼3월) 도축 마릿수는 19만 5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
- 2분기 이후 도축 마릿수 증가폭 확대하며 전년 대비 7∼16% 증가
● 한우 도축 마릿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 89만 5천 마리
● 한우 사육 마릿수 조절을 위해 자율적 암소 감축 필요
예정일자 | 2021-02-25 |
---|---|
내용 | 사육 동향과 전망, 수급 및 가격 동향과 전망, 배합사료 생산 동향, 수출입 동향 |
담당자 | 이형우(축산관측팀장), 김형진(한육우) |
감수 | 국승용(농업관측본부) |
『농업관측월보』 의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에서 농업인들의 재배의향, 파종실적,
작황, 가격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농업 및 통계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작성된 것입니다.
전망 결과는 앞으로 기상 및 수급여건의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농업관측정보는 표본조사와 수급분석모형을 이용한 전망자료이므로 통계청의 통계자료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