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농업관측센터

센터소개

home 센터소개 설립목적 및 연혁 연혁

사업시행연혁

2021

  • 농업관측세종사무소 확대 이전
  • 한우 수급 예측모형 경진대회 실시
  • 관측 품목 36개 농축산물(채소8, 과일6, 과채8, 축산6, 식량작물3, 버섯1, 국제곡물4)
  • 항공촬영 조사사업 확대(고랭지 채소, 건고추, 동계작물, 제주도 동계작물 전수조사)

2020

  • 실측조사 도입(재배면적·생육·수확량 실측)
  • 항공촬영 활용 조사사업 실시
  • 농산물 수급 예측모형 경진대회 실시
  • 관측보 작성방식 표준화 설계

2017

  • 농업관측상황실 이전(지제역 → 대전 지족역)

2016

  • 고랭지 채소류 CCTV 설치
  • 쌀 소비 촉진·확대 아이디어 공모

2015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전(나주)
  • 드론 시범 사업 실시
  • 블로그 기자단 위촉식

2013

  • 관측 품목 35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 6, 과채 7, 축산 6, 곡물 2, 국제곡물 4), 농업관측상황실 설치

2012

  • 관측 품목 34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 6, 과채 7, 축산 6, 곡물 2, 국제곡물 3)

2010

  • 관측 품목 31개 농축산물(채소 11, 과일 6, 과채 6, 축산 6, 곡물 2), 배추·돼지 등 6개 품목 선행관측 및 조기예보 제공

2009

  • 관측 품목 29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6, 과채 6, 축산 5, 곡물2), 소비관측 시범 사업, 위성정보 활용 착수, 농축산물 중기선행관측 시범사업

2008

  • 관측 품목확대 29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 6, 과채, 축산 5, 곡물 2), 분기보, 연보

2007

  • 관측 품목확대 28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 6, 과채, 축산 5, 곡물 1), 분기보, 연보

2006

  • 관측 품목확대 27개 농축산물(채소 10, 과일 6, 과채, 축산 5, 곡물 1), 분기보, 연보, 쌀 시범관측 실시

2005

  • 농업관측통계정보시스템(OASIS) 개발

2004

  • 농업관측웹조사시스템(DB) 개발

2002

  • 관측 품목확대 26개 농축산물(채소 9, 과일6, 과채 6, 축산 5), 분기보, 연보

2001

  • 관측 품목확대 24개 농축산물(채소 9, 과일5, 과채 6, 축산 5), 분기보, 연보

2000

  • 관측 품목확대 18개 농축산물(채소 7, 과일 6, 축산 5),분기보, 연보, 축협중앙회 축산관측 통합, 육계 월보 개편

1999

  • 6개 채소, 3개 과일 월보(농업관측센터)

1996 ∼ 1998

  • 6개 채소 월보(농업관측팀)

법률적 연혁

2021

농림축산식품부훈령 제 404호 농업관측 실시요령
‘농업관측센터’로 명칭 변경, 관측품목 확대

2016

농림축산식품부훈령 제 232호 농업관측 실시요령
‘농업관측센터’로 명칭 변경

2013

농림축산식품부훈령 제2호 농업관측사업 실시요령
농업관측센터로 명칭 변경, 국제곡물관측사업 실시, 관측관련 정책연구 근거

2009

농림수산식품부훈령 제89호 농업관측사업 실시요령
관측품목 확대

2002

농림부훈령 제1116호 농업관측사업 실시요령
농업관측정보센터로 명칭 변경

2008

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42조
농업관측사업 근거

2000

농림부훈령 제1033호 농업관측사업 실시요령
농업관측전담기구로 농업관측센터 설치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7조
농업관측전담기관 지정(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5조
농업관측위원회, 농업관측전담기관 설치

1999

농업·농촌기본법 제30조
농업관측사업 시행

1990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 제12조
농업관측 실시, 농업관측협의회 구성

1967

농업기본법 제6조
농업관측 실시
top 버튼